들깨 버섯밥
Beef & Mushroom Rice
perilla-mushroom-rice

한국에서는 '밥을 짓는다', '밥이 다 되었다', '밥걱정 없겠다', '밥은 먹고 다니냐' 같은 밥이 들어간 표현을 '밥 먹듯' 사용한다. 표현에서 '밥'을 밥으로 해석하는 것보단 식사 혹은 끼니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알맞다. 그러니까 '밥을 짓는다'는 '식사를 준비한다'가 되고, '밥이 다 되었다'는 '식사하자', '밥걱정 없겠다'는 '굶을 걱정 없겠다', '밥은 먹고 다니냐'는 '잘 챙겨 먹고 다니냐'가 된다. '밥 먹듯'은 '매 먹는 끼니만큼 자주'이다.

한국인에게 '밥'은 밥을 넘어 식사를 총칭할 만큼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비벼 먹든, 볶아먹든, 쪄먹든, 말아먹든 어떤 형태로 먹든 간에 밥은 우리를 살찌우고 살아가게 만든다.

한식은 주식인 밥을 중심으로 상차림이 구성된다. 기본적으로는 밥에 부식인 국과 찬 몇 가지를 간간하게 만들어 곁들여 먹는다. 때로는 다양한 작물을 넣어 밥을 짓고 그에 어울리는 간단한 부식을 곁들여 먹는다. 혹은 부식 없이 밥에 장만 곁들여 먹기도 한다. 즉, 부식은 없어도 밥이 없는 경우는 드물다.

이제 막 한식을 요리하기 시작했다면, 밥에 집중하여 상을 차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밥을 다채롭게 지어 양념한 장을 곁들여 먹는 것이다. 부식을 만드는 부담이 적고 상이 단출하더라도 입은 지루하지 않다. 전기밥솥 없이도 평범한 냄비나 솥으로 충분히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밥 짓는 도구는 저마다 다른 매력이 있지만, 냄비나 솥으로 밥을 지으면 다양한 재료를 넣기 편하고 누룽지가 덤으로 생겨 좋다. 무얼 넣어도 맛있지만, 계절에 나는 재료로 밥을 지으면 계절의 맛과 향, 색을 뚜렷하게 맛볼 수 있다.

냄비를 불에 올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연기에 쌀 익는 냄새가 실려 오면, 안쪽이 자못 궁금하다. 뜸을 들이고 마침내 뚜껑을 열면, 뭉게뭉게 올라오는 김과 냄새가 따뜻하다. 내가 마음대로 집어넣은 계절이 부드럽게 익은 알곡 위에 고스란하다.

양념장에 쓱쓱 비빈 밥을 우물우물 씹으며 으레 ‘밥’ 생각을 한다. 다음 ‘밥’은 무얼 먹나.

쌀을 씻고 체에 밭쳐 30분간 불린다.
버섯은 젖은 행주로 닦는다. 필요한 경우에만 가볍게 헹구고 마른행주로 물기를 제거한다. 버섯을 굵게 찢거나 썰어 비슷한 크기와 두께로 준비한다.
파나 부추는 잘게 썰어 준비한다.
밥 지을 물에 들깻가루를 체에 밭쳐 풀고 걸러진 굵은 껍질은 버린다. (거피한 들깻가루라면 체를 이용하지 않고 바로 물에 푼다)
뚜껑 있는 냄비를 준비한다. 옴팍하고 작으며 뚜껑에 구멍이 없는 것으로 준비한다. 불린 쌀을 냄비에 넣고 들깻가루 푼 물을 붓는다. 뚜껑을 덮고 강불에 올려 3~4분간 그대로 둔다.
바르르 끓어 뚜껑이 들썩이면 뚜껑을 열고 주걱으로 고루 뒤적인다. 뚜껑을 덮고 약불에 10~12분간 둔다.
넓은 코팅 프라이팬이나 그릴 팬을 중불에 올려 달군다. 버섯을 팬에 고루 펼치고 불의 세기를 강불로 조절한 뒤 잠시간 그대로 둔다. 버섯의 아랫면이 누르면 가볍게 뒤적이고 잠시간 둔 뒤 그릇에 부어 식힌다.
밥뚜껑을 열어 구운 버섯을 얹고 들기름을 두른다. 다시 뚜껑을 닫고 불의 세기를 강불로 조절하고 1분간 둔다. 불을 끈 뒤 5분간 뜸을 들인다.
뜸을 들일 동안 양념장을 준비한다.
밥을 고루 뒤적여 마무리한다.
만든 과정
2 인분
g
/

200 mℓ
250 mℓ
들깻가루 1 큰술
버섯 200 g
들기름 ½ 큰술

곁들임 양념장

양조간장 (진간장) 1 큰술
설탕 ½ 작은술
식초 ¼ 작은술
다진 파 3 큰술 (또는 부추)
통깨 1 작은술

1. 재료 준비하기

2. 쌀 안치기

3. 버섯 말리듯 굽기

4. 버섯 넣어 뜸 들이기

* 노트

Recommended

구독 신청

새로운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만든이들

Developed by이은재

Designed by정민지

© merearchive